분류 전체보기 1423

강화도 교동도

09년 1월 31일(토요일)별립산에서 내려와 점심 먹고   여객선 타고 20분 걸리는교동도에 도착 교동도 선착장에서 찻길 따라 가다가 교회 앞에서 안쪽으로 들어가 수로 따라 가는데 수로와 바다 풍경이 참 예쁩니다.  연산군지 유배지 읍성에 홍예문이 남아 있습니다.조선 10대 왕 연산군은 중종반정 때 이곳으로 유배 되어 31살에 생을 마치고 7년 후 방학동으로 이장했습니다. 지금은 燕山君潛底地 돌비석과 우물이 남아있습니다.인조 때 경기 수영을 설치하면서 교동 읍성은 없어지고  홍예문만 남아있습니다. 관아 자리에는 일본식 건물이 있고  그때 사용했던 돌들은 텃밭 축대나 담장 돌담으로이용  되었고 고목나무들이  역사를 말해 주는 듯합니다. 창후리로 돌아가면서    물이 빠져 수로 따라 외포리 선착장으로 돌아오..

강화도 별립산

09년 1월 31일(토요일)1월 마지막 날 48번 도로 강화 통진 방향  창후리 선착장 황복 마을  유스호스텔에 주차하고  왼쪽으로 올라가면 그다지 높지 않고 전망은좋은 별립산이 있습니다. 바다와 가장 가깝게 있는별립산은 날씨가 좋으면 북쪽  개풍군 일대와 개성 송악산이 보이는 곳입니다. 정상은 군부대가 있어 옆 봉우리로 올라가게 되는데   정상 표지석은 없고 코팅된  별립산  리본이 나뭇가지에 걸려 있습니다. 유스호스텔과 여객 터미널에서 교동도로 떠나는 여객선과함께 바다의 아름다운 바다 풍경이 보이고 고려산과 혈구산 그 끝자락에 왜 포리 선착장과  길게 누워있는 석모도까지 2시간 정도 산행입니다.점심 먹고  교동도 가기 위해 배  기다렸습니다.오늘도 멋진 추억 한 장 추가입니다.     교동도에서 본 ..

야생화가 좋아 산을 찿다가

09년 1월 31일(토요일)야생화가 좋아 산을 찾다가  정말로 산  좋아졌습니다.희귀하고 귀한 꽃이 아니라   아무 곳이나 흔하게 자라는 풀도 꽃도 좋습니다. 낙엽 속에서 살며시 얼굴을 내미는 봄을 알리는 노랑제비, 알록제비아무 데서나 흔하게 눈에 띄는  양지꽃 바위틈에서 더  돋보이는 바위 양지    산괴불주머니, 얼레지, 은방울 꽃,금낭화와 노루오줌,기린초, 개불알  꽃, 호노 루발,괭이눈, 장구채,  동자꽃, 어수리,잔대, 엉겅퀴와 뻐꾹채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야생화를만났고 만나면 즐겁고 궁금합니다.이름이 뭘까? 참~신기하게 생겠네 모싯대,  잔대,  돌쩌귀, 매발톱  외워도~외워도~안 되는 고약한 이름을 가진 꽃들도   사랑스럽고 예쁩니다.       비슷한 꽃들도 많아 혼란스러울 때도 있는데대덕..

법원리 초릿골에서 비학산

09년 1월 27일(화요일)27일 구정 마지막 연휴 날법원리에서 초릿골로 들어가면한정식집 승잠원을 지나  초계탕 집 앞에 주차 계단을 올라가면 암산 정상입니다.  암산, 삼봉산, 395봉, 비학산, 장군봉,매바위 쪽으로 능선길을 돌아   승잠원 입구로 내려오면  6시간,          초리연으로 내려오면4시간이 걸립니다. 1968년에 청와대 폭파를 위해   김신조와 30명이 침투하여   숙영 했던 삼봉산과 일제 감금기 때 은을 채광했던 은굴을 지나  395봉을 넘고 대피소 갈림길에서 장군봉으로 갑니다. 장군 바위에서  매바위   쪽으로 가다가 초리연갈림길에서 내려옵니다.  초릿골을 기점으로 디귿자로  둘러 싸여 있는 능선길은  오르 내림이 쉽지는 않지만 길이   넓고 폭신해 걷기에 좋았습니다.    두..

파주에는 2009.01.28

세종문화회관에서 루벤스 바로크 걸작전

09년 1월 26일(토요일) 구정 연휴 때 세종문화 회관  미술관에서 본 루벤스 바로크 전  비엔나의 3대 미술관 중 하나인 비엔나 아카데미 뮤지컬에  소장된 작품들로 17세기 활발하게 활동했던  야콥 루이스달과 안토니오 반 다이크 작품들이 같이 전시되어 17세기 네덜란드 문화사를알 수 있는데 17세기 경제가 호황일 때 네덜란드는 미술품거래가 활발하여 시민들의 기호에 맞는여러 장르의 미술품이 발달했다고 합니다. 이번 전시된 루벤스 작품들은   제자들의 손을 빌리지 않고 손수 제작한 작품들입니다. 북유럽 바로크 미술 선구자 루벤스는 당대의  가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합니다.인물화, 풍경화, 풍속화, 동물화,정물화, 역사화들이 있는데 니콜라스  마에스의 인물화에 감동 받았습니다.  선 하나하나와 색감..

경복궁

09년 1월  24일 세종문화 회관에서루벤스 작품 전시회 가던 중경복궁에 들렸습니다.날씨가 추운데도 중국,일본관광객이 많았습니다.                   25년 전 남편이 미국 가고 없을  때              혼자 4, 6살 아들 둘을 데리고                왔는데 외국인들이 개구지게               노는 아이들 모습을 보고              사진을 많이 찍던 생각이 납니다. 그 아이들이 지금 29, 31살  어제밤 내린 눈으로경회루 설경이 멋집니다. 명성황후가 일본인 자객에게 시해되었던 건청궁이복원되었고 1887년 미국 에디슨전기회사에서 발전기를 설치하여 우리나라 최초 전등이가설되었다는 곳과 수문장 교체식을보고 돌아왔습니다.                     ..

서울에서 2009.01.25

정능 청수장에서 삼천사

09년 1월 24일110번 종점 정릉 청수장에서 대성문 쪽으로 올라가면1억 만년 전 솟았다는 화강암이멋진 북한산 입니다.   어디를 가도 이쁜 산이지만사고도 많이 나는 북한산 입니다.  바위 위에 뿌리를 내렸던 나무들이 커지면서 옆으로누워버린 나무들과  바위틈에서 자라고 있는  소나무가 감탄스럽습니다. 대남문에서 문수봉을 지나 청수동 암문에서 직진 (성벽 따라가면 나한봉, 나월봉,부암동암문, 증취봉, 현봉, 용출봉,의상봉, 산성매표소로 하산할 수 있고 암문을 나오면 승가봉, 사모바위,비봉, 향로봉에서 기자촌으로쪽두리봉에서는 불광동 방향으로  내려갈 수 있는데)우리는 암문을 지나 삼천리골삼천사로 내려옵니다.                              생각이 필요할 때, 찌뿌둥한           ..

서울에서 2009.01.24

양수리(운길산~예봉산)

09년 1월 23일지난여름 비가 참~많이 오더니   오늘도 비가 내립니다.청량리에서 양수리 좌석버스를 타고  삼거리 검문소에서 내려 수종사 입구까지 택시를 탔고 수종사까지 걸어가는데경사가 참 급합니다. 비가 계속 많이 오면운길산까지 갈 것이고 아니면 예봉산까지 갈 계획으로  팔각정에서 비에 젖은 두물머리 풍경이 신비롭게 느껴졌고 수종사는 물의 종자란 뜻인데   주변 경관이 아름답습니다.차방 삼정현에서는 차공양도 받고  37년 전쯤 친구들과  수종사에서 운길산을 산행 중  하산을 잘못하여 고생했던 생각도 납니다.   500년 넘은 은행나무와  사찰을 구경하는 중에비가  잦아들어 운길산에서 적갑산, 철문봉  그리고 예봉산까지4개의 봉우리를 넘어 발이 부어오르도록 많이 걸어  후들거리는 다리를 끌고 내려와 팔..

가평 화야산에서 뾰루봉

09년 1월 18일(일요일) 경춘가도에서 강남 금식기도원(큰골)으로   삼회리 마을회관 근처에 주차운곡암을 지나 큰골로 올라갑니다.  계곡이 꽁꽁 얼어 아이젠을 착용하고 올라갑니다.화야산은 755m 적당히 눈 섞인낙엽길이 좋습니다.                   화야산에서 뾰루봉으로 가는능선길에는 멋지게 늘어진 소나무들과 눈이 많이 왔는데도 낙엽들이 미끄럽지 않아 발걸음이 가볍습니다. 뾰루봉 전방 400m에서  빗방울이 떨어지더니 바람이 심하게 불고 어두워지기시작합니다. 뾰루봉 정상에서 안개 때문에 전망을 제대로 보지 못했고  서둘러 소야곡 쪽으로 하산 잘 다니지 않는 길이라 험하고 뽀쪽한 바위돌길이상당히 위험했습니다. 5시간째 산행 중이라 지치기도 했고 경사가 급한 곳에서낙엽 스키를 타고 넘어지고 미..

경기도에서 2009.01.21

울대고개에서 첼봉

09년 1월 17일(토요일) 의정부 39번 도로울대 고개에서 길음동 성당 묘지 울대리 묘지 쪽   공터에 주차하고 묘지 뒤로  한북정맥 리본 따라가다가 시멘트 길을 만나"항공 무선표시 국" 건물에서철조망을 끼고 들어가면  해태, 크라운제과 연수원 교육장이 나옵니다. 정상에 표지석은 없고  한북정맥 리본이 많습니다.  앵무봉과 장군봉 불곡산이보입니다. 등산을 늦은시간에 시작해 트래킹은 여기까지 하고왔던 길로 되돌아가면서 본석양이 참 아름다웠습니다.                                                                      주변에 주차하고                                                                묘지를 지..

경기도에서 2009.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