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이천,양평에서

세종대왕릉~효종왕릉(여주)

손빠공 2022. 7. 21. 15:03

022년 7월 9일(토요일)

어느 촉촉하고 좋은 날

효종대왕릉(寧陵) 주차장에서

데크 따라갔더니

세종대왕릉(英陵) 주차장이

나오고 

 

세종대왕 역사 문화관 앞을

지나면 매표소가 있습니다.

 

세종대왕릉 영릉(英陵)에는

세종대왕과 소현 왕후

심 씨의 능으로

 

조선 4대 왕 세종은 1418년

왕위에 올라 32년간 재위하면서

정치, 경제, 문화, 과학, 군사

분야에서 훌륭한 업적을 남기고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소현왕후와 사이에서

8남 2녀의 자식을 낳았습니다..

 

효종 왕릉 영릉(寧陵)은

효종과 인선왕후

장 씨의 능입니다.

 

조선 17대 왕 효종은 인조의

둘째 아들로 1636년 병자호란으로

청나라에 8년간 볼모로 잡혀

생활하였고 1649년

왕위에 올라 10년간 재위하면서

 

군사를 개편하여 군사 훈련

강화에 힘썼고 청나라를 치려는

북벌 계획을 세우기도 했고

대동법을 확대 화폐를 

보급하여 백성의 생활을

안정시켰습니다.

 

효종 왕릉 주차장에서 데크 따라가면

세종대왕릉 주차장이 나오고

역사 문화관 앞을 지나 들어가면

세종대왕 재위 기간 동안 만들어진

업적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1) 소간의~ 간의를 옮길 수 있도록 개량한 천문 관측기기

   2) 간의~ 고도와 방위 낮과 밤의 시간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천문 관측기기

3) 혼천의~ 해와 달 별과 오행성의 위치를 측정하는

천체 관측기기

4) 관천대, 적도의~ 천문 관측기기를 올려놓던 곳

1) 현주일구~ 휴대용 해시계

2) 정남일구~ 시간과 절기를 동시에 알려주는 해시계

3) 천평 일구~ 휴대용 해시계

4) 일성정시의~ 해시계와 별시계의 기능을 하나로 모아

언제든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

1) 자격루~ 물을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장영실이 만든 물시계

2) 앙부일구~ 시계판이 가마솥 같이 오목하고

솥이 하늘을 향해 있는 세종 16년에 만들어져

조선말까지 널리 사용한 해시계

3) 일구대~ 해시계 앙부일구를 올려놓는 받침대

4) 천상열차분야 지도~ 대조 4년에 북극을 중심으로

하늘의 좌표에 따라 별 1467개의 위치를

커다란 원 안에 표시하여 만든 천문도

1) 측우기~ 비의 양을 재고자 만든 기기

2) 규표~ 해의 그림자를 재어 24절기를 알 수 있게

만든 천문 관측 기기

3) 혼상~ 별자리의 위치를 살피는 관측기기  

4) 수표~ 서울 청계천과 한강에 설치해

하천의 물 높이를 재고자 만든 기기

영릉 제실~ 왕릉을 관리하는 참봉이 지내던 곳

위토답~ 제사나 관리에 드는 비용을 

                                                                      만련하기 위해 조성한 토지 

세종과 소현왕후 심 씨의 능(英陵)은

합장입니다.

영릉 비각과 비문

세종대왕릉에서 효종릉까지 연결된 길

숙종, 영조, 정조 임금이 행차하여 효종릉을 먼저 

참배하고 세종대왕릉을 참배하였다는 기록이

소나무 숲길이 참 좋습니다.

효종과 인선왕후 장 씨의 능(寧陵)

 

효종 영릉 제실과 300년 된 회양목

제실 안에 있는 고목

비가 와도 좋은 촉촉한 산책길

여주 영릉, 영릉입니다.

조선 왕릉(英陵, 零陵)은

세계 문화 및 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라

인류의 문화유산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여주,이천,양평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소리 5길 물폭탄 후  (1) 2022.09.21
여주 당남리섬에  (0) 2022.09.21
이천 산수유 둘레길  (0) 2022.07.06
양평 사나사  (0) 2022.06.30
닷둔리 자산  (0) 2022.05.12